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AVC)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남자 배구 대회이다. 1975년 호주 멜버른에서 첫 대회가 열렸으며, 배구 월드컵이나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이 개최되는 해에는 우승 또는 준우승팀이 아시아 대표로 출전한다. 2007년부터는 상위 8개 팀이 아시아컵에 진출하며, 2021년에는 세계 선수권 아시아 예선을 겸했다. 일본이 최다 10회 우승을 차지했으며, 대한민국, 이란, 중국도 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구 대회 - 유니버시아드 배구
유니버시아드 배구는 전 세계 대학생들이 참가하는 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배구 종목으로, 국제배구연맹 규칙에 따라 경기 규칙이 변경되어 왔으며,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고, 초기에는 유럽 국가들이 강세였으나 점차 아시아와 아메리카 국가들의 경쟁력이 강화되어 국제적인 선수 등용문 역할을 한다. - 배구 대회 - 올림픽 배구
올림픽 배구는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부와 여자부 경기가 함께 진행되며, 풀 리그와 토너먼트 혼합 방식으로 메달을 결정하고, 실내 배구와 비치 발리볼 두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 197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 1975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AFC 여자 아시안컵
AFC 여자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여자 축구 국가대항전으로, 1975년 아시아 여자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2006년부터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FIFA 여자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을 겸하고 2022년부터 12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발틱컵
발트 3국을 중심으로 시작된 발틱컵은 주변 국가들이 초청되어 참가하기도 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소련 점령기에 중단되었다가 발트 3국 독립 이후 재개되어 발트 3국의 축구 발전과 국제적 교류에 기여하고 있다. - 2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
세계 태권도 선수권 대회는 세계태권도연맹 주관의 국제 대회로, 1973년 서울에서 처음 개최된 이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메달 획득 수를 기록하고 있지만 최근 다른 국가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 |
원어 명칭 | バレーボールアジア選手権 (일본어) |
영어 명칭 | Men's Asian Volleyball Championship |
주최 | 아시아 배구 연맹 |
시작 연도 | 1975년 |
참가 팀 수 | 남자: 21팀, 여자: 16팀 |
역대 우승팀 | |
최근 우승팀 | 남자: 일본 |
최다 우승팀 | 남자: 일본 (10회) |
관련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아시아 배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1975년 호주 멜버른에서 제1회 남녀 대회가 모두 개최되었다. 여자부에서는 중국이 1987년 제4회 대회부터 2005년 제13회 대회까지 10연패를 달성하였으나, 2007년 일본이 우승하여 중국의 11연패를 저지했다.
같은 해에 배구 월드컵이 개최될 경우에는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이 개최될 경우에는 우승국이 아시아 대표로 해당 대회에 출전한다. 2007년부터는 상위 8개 팀이 다음 해에 개최되는 아시아컵에 진출하며, 2021년에는 세계 선수권 아시아 예선을 겸할 예정이다.
2. 1. 개요
2. 2. 국제 배구 대회와의 관계
1975년에 제1회 남녀 대회 모두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개최되었다. 같은 연도에 배구 월드컵이 개최될 경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아시아 대표로 월드컵에 출전한다. 또, 같은 연도에 월드그랜드챔피언스컵이 개최될 경우, 아시아 선수권 대회 우승국이 아시아 대표로 대회에 출전한다. 2007년부터는 상위 8개 팀이 다음 해에 개최되는 아시아컵에 진출한다.3. 역대 성적
wikitable
개최년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5 | 호주, 멜버른 | |||
1979 | 바레인, 마나마 | |||
1983 | 일본, 도쿄 | |||
1987 | 쿠웨이트, 쿠웨이트 | |||
1989 | 대한민국, 서울 | |||
1991 | 호주, 퍼스 | |||
1993 | 태국, 나콘랏차시마 | |||
1995 | 대한민국, 서울 | |||
1997 | 카타르, 도하 | 호주 | ||
1999 | 이란, 테헤란 | 호주 | ||
2001 | 대한민국, 창원 | 호주 | ||
2003 | 중국, 톈진 | |||
2005 | 태국, 수판부리 | |||
2007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호주 | ||
2009 | 필리핀, 마닐라 | 이란 | ||
2011 | 이란, 테헤란 | 이란 | ||
2013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이란 | ||
2015 | 이란, 테헤란 | 이란 | ||
2017 | 인도네시아, 그레식 | |||
2019 | 이란, 테헤란 | 이란 | 호주 | |
2021 | 일본, 지바 / 후나바시 | 이란 | ||
2023 | 이란, 우르미아 | 이란 |
3. 1. 남자부
아시아 남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AVC) 주관으로 2년마다 개최되는 국제 남자 배구 대회이다.개최년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5 | 호주, 멜버른 | |||
1979 | 바레인, 마나마 | |||
1983 | 일본, 도쿄 | |||
1987 | 쿠웨이트, 쿠웨이트 | |||
1989 | 대한민국, 서울 | |||
1991 | 호주, 퍼스 | |||
1993 | 태국, 나콘랏차시마 | |||
1995 | 대한민국, 서울 | |||
1997 | 카타르, 도하 | 호주 | ||
1999 | 이란, 테헤란 | 호주 | ||
2001 | 대한민국, 창원 | 호주 | ||
2003 | 중국, 톈진 | |||
2005 | 태국, 수판부리 | |||
2007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호주 | ||
2009 | 필리핀, 마닐라 | 이란 | ||
2011 | 이란, 테헤란 | 이란 | ||
2013 |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 이란 | ||
2015 | 이란, 테헤란 | 이란 | ||
2017 | 인도네시아, 그레식 | |||
2019 | 이란, 테헤란 | 이란 | 호주 | |
2021 | 일본, 지바 / 후나바시 | 이란 | ||
2023 | 이란, 우르미아 | 이란 |
3. 2. 여자부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첫 대회가 개최된 이래, 여자부 대회는 아시아 각국의 배구 실력을 겨루는 주요 무대로 자리 잡았다.개최년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5 | 호주, 멜버른 | |||
1979 | 홍콩 | |||
1983 | 일본, 후쿠오카 | |||
1987 | 중국, 상하이 | |||
1989 | 홍콩 | |||
1991 | 태국, 방콕 | |||
1993 | 중국, 상하이 | |||
1995 | 태국, 치앙마이 | |||
1997 | 필리핀, 마닐라 | |||
1999 | 홍콩 | |||
2001 | 태국, 나콘랏차시마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03 | 베트남, 호치민 | |||
2005 | 중국, 타이창 | |||
2007 | 태국, 나콘랏차시마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09 | 베트남, 하노이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11 | 중화 타이베이, 타이베이 | |||
2013 | 태국, 나콘랏차시마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15 | 중국, 톈진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17 | 필리핀, 비냔・문틴루파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19 | 대한민국, 서울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
2021 | 필리핀 | 중지 | ||
2023 | 태국, 나콘랏차시마 | 태국/ประเทศไทยth |
초기에는 일본과 중국이 번갈아 우승을 차지하며 양강 구도를 형성했다. 대한민국은 꾸준히 3위권에 이름을 올리며 경쟁에 참여했다. 2000년대 후반부터는 태국이 새로운 강자로 부상하며, 2009년과 2013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하는 이변을 연출하기도 했다.
3. 3. 국가별 우승 횟수 (남자부)
우승 횟수 | 국가 | 년도 |
---|---|---|
10회 | 일본 | 1975, 1983, 1987, 1991, 1995, 2005, 2009, 2015, 2017, 2023 |
4회 | 대한민국 | 1989, 1993, 2001, 2003 |
4회 | 이란 | 2011, 2013, 2019, 2021 |
3회 | 중국 | 1979, 1997, 1999 |
1회 | 2007 |
3. 4. 국가별 우승 횟수 (여자부)
우승 횟수 | 국가 | 연도 |
---|---|---|
13회 | 중국 | 1979,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 |
5회 | 일본 | 1975, 1983, 2007, 2017, 2019 |
3회 | 태국 | 2009, 2013, 2023 |
4. 대한민국에서의 중계
대한민국에서는 특정 방송사가 중계권을 독점하지 않고, 여러 채널을 통해 주요 경기가 중계되는 경우가 많다. 2005년, 2007년 대회는 일본 TV가 방송권을 획득했다. 2007년에는 여자 결승 라운드 중 2경기를 지상파 골든 타임에 중계했다. 그 외의 경기도 일본전 중심으로 닛테레 G+에서 중계되었다. 2021년 남자 대회는 후지 TV가 방송권을 획득했다. 일본전 전 경기를 FOD에서 생중계, 후지 TV ONE에서 녹화 중계했다. 최종전은 BS 후지에서도 방송되었다.
5. 같이 보기
-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아시안 게임 배구
- [http://www.jva.or.jp/international/record/asianchampionship/men.html 아시아 남자 선수권 대회]
- [http://www.jva.or.jp/international/record/asianchampionship/women.html 아시아 여자 선수권 대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